박지원과 린샤오쥔
2025 하얼빈 동계 아시안게임에서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총 9종목에서 금메달 6개, 은메달 4개, 동메달 3개를 획득하며 압도적인 성과를 거뒀다. 특히 박지원은 이번 대회에서 최고의 기량을 선보이며 남자 쇼트트랙을 주도했다. 하지만 대회 내내 그를 위협하는 강력한 라이벌이 있었다. 바로 중국 귀화 선수 린샤오쥔(한국명 임효준)이다.

린샤오쥔은 남자 1500m에서 박지원과 치열한 경쟁 끝에 은메달을 획득했고, 500m에서는 금메달을 차지하며 존재감을 각인시켰다. 이는 이번 대회 개인 종목에서 한국 국적이 아닌 선수가 유일하게 따낸 금메달이었다. 또한, 남자 5000m 계주 결승에서도 린샤오쥔은 완벽한 코너링과 스피드를 앞세워 박지원과 끝까지 선두 경쟁을 펼쳤다. 비록 몸싸움 끝에 넘어지며 우승을 놓쳤지만, 그의 경기력은 여전히 세계 정상급임을 증명했다.

만약 린샤오쥔이 한국 국적을 유지했더라면, 이번 대회에서 박지원과 함께 최강의 투톱 체제를 구축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현실은 다르다. 이제 그는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이 넘어야 할 가장 큰 적수가 됐다.
임효준이 떠나야 했던 이유
사실 린샤오쥔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서 1500m 금메달, 500m 동메달을 따내며 이미 세계적인 실력을 입증한 선수였다. 하지만 2019년 한 사건이 그의 운명을 바꿔놓았다. 진천선수촌에서 훈련 도중 후배 황대헌의 바지를 일부 내리는 장난을 쳤고, 황대헌은 이에 수치심을 느꼈다며 신고했다.

이 사건으로 인해 린샤오쥔은 1심에서 벌금 300만 원과 40시간의 성폭력 치료 이수 명령을 받았고, 대한빙상경기연맹은 1년 자격정지 징계를 부과했다. 만약 그가 실제로 성추행을 저질렀다면 마땅한 처벌이었겠지만, 이후 항소심에서 무죄 판결을 받았다. 검찰이 상고했으나 대법원은 이를 기각하며 최종 무죄가 확정됐다.

그러나 이미 선수로서의 길은 막혀 있었다. 빙상연맹의 징계로 인해 국내에서 훈련을 이어가기 어려웠고, 국가대표 복귀 역시 불투명한 상태였다. 결국, 그는 2020년 중국으로 귀화하는 결정을 내렸다. 만약 그가 억울한 누명을 쓰지 않았다면, 그리고 빙상연맹이 섣부른 징계를 내리지 않았다면, 오늘날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한층 강력한 전력을 자랑했을지도 모른다.
“임효준-박지원 투톱”이었더라면…
현재 한국 여자 쇼트트랙 대표팀은 최민정과 김길리의 강력한 투톱 체제로 개인 종목 금메달을 모두 휩쓸며 최강의 전력을 자랑하고 있다. 반면, 남자 대표팀은 박지원이 분전하고 있지만, 중국으로 귀화한 린샤오쥔과의 치열한 경쟁을 피할 수 없게 됐다.

만약 린샤오쥔이 한국 국적을 유지했더라면, 박지원과 함께 압도적인 조합을 이뤘을 것이다. 두 선수는 모두 다양한 종목에서 강한 경쟁력을 갖추고 있어, 2026 밀라노·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에서도 금메달을 다수 노릴 수 있는 전력이었다. 하지만 현실은 달라졌다. 이제 한국 남자 쇼트트랙은 최강의 적수를 상대해야 하는 입장에 놓였다.

이번 하얼빈 아시안게임은 이를 다시금 실감하게 한 무대였다. 한국 대표팀이 린샤오쥔과 계속해서 맞대결을 펼쳐야 하는 현실은 뼈아프다. 특히, 그가 한국을 떠나야 했던 배경이 석연치 않다는 점에서 더욱 아쉬움이 남는다. 과연 한국 쇼트트랙 대표팀은 이 변수를 극복하고 2026년 밀라노 올림픽에서 다시 한 번 세계 정상에 설 수 있을까? 앞으로의 행보가 더욱 주목된다.